[디사이플 6기]제자입니까
페이지 정보

조회 4,022회 작성일 16-10-31 20:51
본문
이 책을 받아 보고 제일 먼저 한 것은, 제자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본 것이다. 사전적 의미에서 제자란: 1) 스승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은 사람, 2) <기독교에서의 제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가르침을 받아 그 뒤를 따르는 사람이다.
이 책에서 제자란 두 번째 사전적 의미와 같은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이다” 라고 정의 한다. 하지만, 저자는 그리스도를 따른다는 말이 담고 있는 세 가지 속성을 다음과 같이 풀이한다. 그리스도를 따른다는 말은 그분을 1) 모신다는 것이요, 또한 2) 그분을 사랑하고, 3) 찬양한다는 것이다.
2 부로 이루어져 있는 이 책의 전반적 1부의 내용은 이 ‘예수 그리스도를 따른다는 말’의 세 가지 속성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다. 첫 번째 속성인 ‘주님으로 모신다는 것’의 주제를 통해 저자가 특별히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아마도 “너희는 나를 불러 주여 주여 하면서도 어찌하여 나의 말하는 것을 행치 아니하느냐 (눅 6:46)”이란 말씀으로 함축되어 질 수 있을 것 같다. 여기서 말하는 행함의 의미는 철저한 주종관계, 주인의 명령에 복종하는 종으로써의 행함으로 강조되어 진다.
두 번째 속성은 주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사랑’에 관한 계명이다. 주님이 우리를 사랑하셨듯이 우리도 서로 사랑하라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주신 제자로서의 생활에서 나타나야 하는 가장 중요한 미덕, 마땅히 제자로서 지켜야 할 계명이자 ‘예수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으로써의 속성이라 말하고 있다 .
세 번째 속성으로써 그리스도인으로써의 제자란 우리의 두 눈을 떠 하나님의 위대하심 그리고 우리에게 베푸신 것들의 감사함으로 찬양하는 것에 대하여 말하고 있다.
세 가지의 속성들의 관련된 내용을 읽으며, 다시 한 번 내가 주님을 정말 주님으로 섬기고 있는지, 그리고 주님께서 사랑하며 살라고 하신 계명을 잘 지키고 살고 있는지, 또한 주님께서 내게 허락하신 이 모든 것들에 늘 감사하며 살고 있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하고 반성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다음으로, 2부의 내용은 “새 부대”라는 제목으로 제자도란 무엇인지, 어떻게 제자 양육과 순모임을 하는 것이 좋은지에 관한 내용인데 흥미로운 내용은 있었지만, 저자가 타깃으로 삼은 독자가 나는 아닌 듯 하다. 전반적으로 나를 위한 내용은 아니라고 생각이 드는 부분이 많이 있었다.
하지만 기억에 남는 부분을 뽑자면, 2부에서 저자는 제자는 회원과는 다르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제자란, “스승의 삶을 본받아 살아야 한다. 그 다음에 스승이 했듯이 다른 사람에게 자기 삶을 가르쳐야 한다. 그러므로 제자도는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고 홍보하는 것과는 아주 다르다. 제자도는 ‘생명’의 교류이다.” 말한다.
그리고 두 가지 제자도 법칙을 말하는데, 그 두 법칙은 다음과 같다.:
제자도 제 1 법칙: 복종 없는 양육은 있을 수 없다.
제자도 제 2 법칙: 복종 없이는 복종이 있을 수 없다.
위의 두 제자도 법칙은 아마도 1부 처음에 거론한 제자의 첫 번째 속성 (주종관계) 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예수 그리스도”를 따른다는 말, 그리고 그분을 주인으로 섬기고 그분의 명령에 복종한다는 “그리스도의 제자됨"의 정의와 속성이 “그리스도의"라는 단어의 생략으로 그리스도에게 복종한다는 의미가 잘못 변질할 수 있다는 염려가 들었고, 혹시나 저자가 말하는 "제자도”라는 것의 의미를 내가 잘 못 이해했을까 싶어, 짧은 시간에나마 다음과 같은 website들을 찾아 읽어 보았는데 (아마도 더 많은 research가 필요할 듯하지만) 공유하며 ‘제자입니까’를 읽은 숙제를 마쳐본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해 설명하고 주장하는 내용에 대해 비판적 시각들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 Roots of the modern discipline movement (http://www.somis.org/TDD-08.html) 제자도의 Roots와 장단점에 대해 나와 있습니다.
예) Bob Buess attributes many of these problems in the shepherding movement to the influence of Juan Carlos Ortiz. In his book Discipleship Pro and Con, he wrote,
예) Pat Robertson wrote an Open Letter to Bob Mumford on June 27, 1975, in which he complained about abuses associated with the discipleship-shepherd-submission teaching. He mentioned individuals who submit to shepherds instead of becoming responsible church members.
2. 위키피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Shepherding_Movement)
위키피디아를 인용하고 싶진 않지만, 한국에 관해서도 내용이 적혀있길래 읽어 볼 만했습니다.
3. http://www.crossroad.to/articles2/04/shepherding.htm
- 이전글[디사이플 6기] 제자입니까 16.11.01
- 다음글제자입니까 독후감 16.10.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